[1] 베트남의 민족영웅 호치민 호치민이란 사람은 베트남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고 평가된다. 본명은 Nguyen Tat Thanh. 사이공이란 도시명을 호치민으로 바꿀 정도였고, 또 사실 그 만큼 굉장한 민족주의자였다고 할수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김구선생님이 살아계셔서 남북이 하나로 정부를 수립한 것과 맞먹는다고 할정도.. 베트남 하노이 외국어 대학 한국어 선생이 '존경'이란 단어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고 한다. "당신은 누구를 가장 존경합니까?" 이 질문에 학생들의 대답은 한결같았다. "호치민 입니다". 교원대학에 다니는 베트남 학생들과 대화하다가 서로의 종교를 묻게되었다. 서로의 종교를 이야기하는데 두 학생은 종교가 없었다. "종교가 없는 사람은 누구를 믿지"라는 질문에 대답은 "호치민이죠"였다. 이 이야기들은 호치민이 베트남인들에게 어떤 인물인지 단적으로 드러내준다. 베트남에 도착해서 먼저 환전을 할 것이다. 처음에 조금 이상한 것이 베트남 지폐에 새겨진 인물이 모두 호치민이라는 것이다. 베트남의 모든 공공 장소에는 호치민의 사진이 걸려져있으며 공식적인 모임에는 항상 호치민의 흉상을 두게 되어있다. 사이공시 가장 중심인 REX호텔 옆에는 호치민동상이 있으며 사이공시 역시 75년 해방이후 호치민시로 개명이 되었다. 호치민 박물관을 찾는 이는 모두 느끼겠지만 그의 청빈한 삶과 베트남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을 깨닫게 된다. 80평생을 결혼도 하지 않고 오직 베트남의 통일과 자유를 위해 헌신한 호치민의 일생을 살펴보자. 아래 내용들은 러시아의 인도차이나 전문가 E.Co-be-lep이 쓴 호치민동지(Dong chi Ho Chi Minh)에서 발췌해서 실었음을 밝힌다. <호치민 연표> 1890년 5월 19일 | 응우엔신꿍(Nguyen Sinh Cung: 호치민의 어릴때 이름)이 응에안(Nghe An)주 호앙쭈(Hoang Tru)지방에서 교육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 1905년 - 1910년 | 6년간 후에에서 초등학교(Truong Quoc hoc Hue)를 다녔다. | 1911년 - 1917년 | 삶을 개척하기 위해 베트남을 떠난다. 프랑스로 가는 배에 몸을 싣고 주방일을 한며 파리에서는 사진사로 일했다. | 1918년 | 프랑스 사회주의 당에 입적했다 | 1919년 1월 | 이름을 응우엔아이궉(Nguyen Ai Quoc)으로 바꾸고 국제평화회의에 처음으로 베트남민족의 자유혁명을 정치선언문으로 표현했다. | 1920년 7월 | 처음으로 민족과 식민지 문제에 관한 레닌(Le-Nin)의 책을 접하고 국제공산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 1920년 12월 | 프랑스 사회주의자들의 모임에 처음으로 참석하게 된다. 이 모임을 통하여 프랑스 공산당이 창립되고 호치민은 베트남 역사상 처음으로 공산당원이 된다. | 1924년 6월 | 모스코바에서 개최된 제 5차 국제공산당 회의에 인도차이나 공산당 대표단으로 참석한다. | 1925년 6월 | 베트남 청년혁명 동지회(Viet Nam thanh nien cach mang dong chi hoi)를 창설하여 이후 인도차이나공산당의 모체가 된다. | 1930년 2월 3일 | 홍콩에 거주하는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을 규합하여 처음으로 베트남 공산당(Dang cong san Viet Nam)을 창설한다. 이후 당이름을 인도차이나공산당(Dang cong san Dong Duong)으로 개명한다. | 1935년 8월 7일 | 제 7차 국제공산당 회의에 참석한다. 이 회의를 통해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정식 국제 공산당에 가입하게 된다. | 1941년 2월 8일 | 30년간의 외국생활을 청산하고 베트남 중부 국경 팍보(Pac Bo)지방을 통하여 입국하게 된다. | 1944년 - 1945년 | 무장 혁명봉기를 준비하기 위해서 1944년 12월 22일 베트남 선전 자유군(Doi Viet Nam tuyen truyen giai phong quan)설립 명령을 내린다. 후 이는 베트남 인민군대의 기본 모형이 되었다. 1945년 8월 16일 호치민은 민족해방 위원회 주석으로 선출되고 이 회의에서 무력 항쟁을 결의하게 된다. | 1945년 9월 2일 | 하노이 바딘광장(Quang truong Ba Dinh)에서 독립선언문(Tuyen ngon doc lap)을 발표하므로 베트남 민주 공화국(Viet Nam Dan chu Cong hoa)을 세우게 되었다. 이로써 동남아지역에서 처음으로 노동자의 나라를 만든 역사적 의의를 갖게 되었다. | 1946년 3월 2일 | 첫 번째 국회(Quoc hoi)에서 호치민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국가주석과 수상에 선출되었다. 그리고 10년간 수상의 직분을 감당하였다. | 1946년 12월 20일 | 하이퐁만 관세에 관한 법적권리를 둘러싸고 베트남과 프랑스인사이의 협상이 결렬되자 베트남은 베트남 전역에 걸쳐 프랑스와 무력 투쟁을 결의하게 된다. | 1950년 9월 | 러시아와 그외 사회주의 국가관의 직접적인 교류, 홍보가 성공하여 처음으로 러시아와 협력관계를 맺게 되었다. | 1951년 2월 | 인도차이나공산당(Dang cong san Dong Duong) 제 2차회의에서 모든 당의 명칭을 베트남노동당(Dang Lao dong Viet Nam)으로 바꾸고 승리의 날까지 더욱 강하게 뭉치자는 정치선언을 한다. 이 모임을 통하여 호치민은 중앙 베트남노동당 집행 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 1954년 7월 22일 | 인도차이나의 평화를 위한 제네바협정에 따라 남북을 잠정분할하는 데 합의한다. | 1955년 6월 |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부, 당대표를 이끌고 러시아와 각 사회주의 나라를 탐방한다. | 1960년 9월 | 제 2차 베트남노동당 회의에서 2가지 개혁임무를 발표한다. 첫째, 북쪽에 사회주의 공화국을 건설한다. 둘째, 억압받는 남쪽을 해방시켜 전국 평화통일을 이룩한다. 이 모임을 통해서 호치민은 계속해서 중앙 베트남노동당 집행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1965년 4월 |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주석으로 선출되었다. 이 회의에서 호치민은 모두다 미국과 맞서 싸워 조국을 구하자!(Tat ca cho cuoc dau tranh chong My, cuu nuoc!)라고 선언하였다. | 1969년 9월 3일 | 중앙 베트남노동당 집행 위원장이자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주석인 호치민이 중병으로 하노이 집에서 투병다가 1969년 11월 29일 별세한다. 중앙 노동당 정치부는 호치민의 시신을 보전할 무덤을 만들 것을 결정한다. 1975년 8월 29일부터 호치민 주석은 광쯩광장에 세워진 묘소에서 고이 잠들게 되었다. | 호치민은.. 중부 베트남의 게친주(州)에서 농민출신 문인학자(文人學者)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1년 프랑스선(船)의 견습 요리사로 프랑스에 건너가 구엔아이 퀙[阮愛國]이란 이름으로 식민지해방운동을 시작, 제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회의에 베트남대표로 출석하여 '베트남 인민의 8항목의 요구'를 제출하여 일약 유명해졌다. 1920년 프랑스사회당 투르대회에서 제3인터내셔널(코민테른) 지지파에 가담하고, 프랑스공산당 창립과 함께 그 당원이 되었다. 이듬해 공산당의 지원으로 프랑스식민지인민연맹을 결성하고, 기관지 《르 파리아》를 편집·발행하였다. 1924년 모스크바의 코민테른 제5차 대회에 출석, 동방부(東方部) 상임위원이 되었고, 이어서 코민테른으로부터 중국 남부 및 타이로 파견되어, 조국의 주변에서 혁명운동을 계속하였다. 1930년 코민테른에 의하여 권한을 부여받고 인도차이나공산당을 창립하였다. 이듬해 홍콩의 영국 관헌에게 체포되었으나, 석방 후 일단 모스크바로 돌아갔다가, 1941년 베트남에 잠입, 인도차이나공산당을 중심으로 베트민(베트남독립동맹회)을 결성, 독립 총봉기(總蜂起)를 목표로 세력을 키웠다. 1942∼1943년 중국국민당에 체포·투옥당한 무렵부터 호치민이라는 이름을 사용, 1945년 8월 태평양전쟁의 종전과 동시에 총봉기를 지도하여, 구엔[阮]왕조로부터 정권을 탈취(8월혁명), 베트남민주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정부 주석으로 취임하였다. 1946년 퐁텐블로회의가 결렬되자 프랑스에 대한 항전(抗戰)을 직접 지휘, 1954년 디엔비엔푸의 승리로써 독립을 지켰다. 일생을 독신으로 살았으며, 주석(대통령) 재임 중 심장병으로 급사하였다. 그는 비록 죽었지만 베트남 건국의 아버지라 불리우며 그의 정책은 북베트남에 그대로 반영되었습니다.결국 베트남 통일 후에 남베트남의 수도인 사이공은 호치민시로 바뀌기도 합니다. 지금도 호치민은 베트남의 국부로 추앙받고 있습니다. [2] 응우엔 반 티우(阮文紹, Nguyen Van Thieu, 1923. 4. 5~ )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대통령으로 1967년부터 북베트남의 침공으로 공화국이 함락되던 1975년까지 재임했다. 소지주의 아들로 태어나 1945년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베트남 독립동맹에 가입했으나 나중에는 프랑스 식민정권 편에 서서 베트남 독립동맹과 싸웠다. 1954년 베트남 육군사관학교 교장이 되었으며 1956년 이후로는 응오 딘 디엠정권을 위해 일했다. 1963년 응오 딘 디엠에 대항하여 일어난 쿠데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1965년 응우엔 카오 끼총리가 이끄는 군사정권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1967년에는 그해에 공표된 새 헌법에 따라 대통령으로 뽑혔으며 1971년에 만장일치로 재선되었다. 티우 정권이 출현하면서부터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티우 정권은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린든 B. 존슨대통령부터 리처드 M. 닉슨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줄곧 미국정부의 지지를 받았다. 1973년 평화협정(남베트남 정부는 다소 불만스러운 가운데 협정안을 수락했음)이 조인되어 미군이 철수한 뒤에도 티우는 계속 권력을 강화했다. 1975년초 공산주의자들이 북부지방을 장악하자 부대를 철수시켜 수도 사이공을 방어하도록 했으나 공산군이 사이공을 포위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준 결과가 되었다. 티우는 얼마 버티지 못하고 자신이 사임한다면 전쟁을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는 설득을 받아들였다. 1975년 4월 21일 미국을 비난하는 한 연설에서 부통령 트란 반 흐엉을 지지한다는 사임의사를 밝히고 곧바로 고국을 떠났다. 처음에는 중화민국으로 갔다가 뒤에 영국으로 옮겨 서리 주에 정착했다. |